
TV를 보다가 너무 아름다운 목소리가 들려와서 깜짝 놀랐다. 박효신이었다. 박효신의 새 노래가 광고음악으로 사용된 것이었다. 맑으면서도 깊고 풍부한 소리. 한때 이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박효신 노래만 듣기도 했었다. 박효신은 원래 이런 목소리가 아니었다. 흔히 말하는 소몰이 창법을 사용해서 두껍고 웅웅 거리는 소리를 냈었다. 이런 소리는 내가 그리 좋아하지 않아서 박효신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근데 어느 날 들어본 박효신의 노래는 전혀 이런 웅웅 거림이 아니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맑은 목소리였다. 뮤지컬 팬텀의 유령의 노래는 유난히 고음을 깨끗하게 지르는데 배우 이름에 박효신이 있기에 소몰이로 어떻게 이런 노래를 부르나 하고 찾아봤더니 이렇게 부르고 있었다. 도저히 같은 사람의 노래라고는 생각할 수..
에버랜드는 어릴적 자연농원 시절부터 늘 좋았던 곳이다. 입구로 들어가는 순간부터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꿈같은 공간. 나에겐 에버랜드는 그런 곳이었다. 중학생 시절부터 소풍은 무조건 여기였다. 가깝기도 했고 왔을 때 아이들에게 만족도가 높아서 그랬던 것 같다. 20대가 되어서도 에버랜드에 자주 오게 되었다. 친구와 놀러오기도 했고, 데이트를 위해서 오기도 했고, 무리들의 소풍장소로 이용되기도 했다. 부모님과 오기도 했었다. 물론 부모님은 날 위해서 이 곳을 선택하셨겠지만. 어릴 적에는 적당히 즐기긴 했지만 기다란 줄에서 사람들에 치이며 몇십분 혹은 몇시간을 기다리는 일은 내게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오락실에서, 공원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던 기억이 있다. 30대부터는 놀이기구가 더이상 타..
작년 7월 정리해본 넷플릭스 1년간의 기록은 넷플릭스를 시작한 2017년 7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의 기록이다. 1년간 어떻게 사용했는지 궁금하기도 했지만 앞으로도 넷플릭스를 계속해서 구독할 가치가 있는 것인지도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넷플릭스 구독 2년차, 이제 넷플릭스는 국내 드라마 시청을 위해서도 당연히 구독해야할 서비스가 되었다. 썰전과 같은 경우 JTBC에서는 보지 않고 넷플릭스에서만 본다. 지난 번에 한 것과 약간 중복은 있지만 2018년 1년간 시청 기록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월, 2월, 6월, 7월 약간 주춤했지만 8월엔 무려 97편을 감상했다. 뭘 봤길래 이러나 했는데 브레이킹 배드였다. 7월말부터 보기 시작해서 5개의 시즌을 8월 15일에 모두 봤다. 시즌 4, 5 같은 경우는 거의 ..
티스토리 에디터의 모바일 버전출시가 불발되었다. 지난주에 시도했을 때는 appID가 com.tistory라서 그런가 하고 net.joostory로 변경해보았는데 결국 그거와 상관없이 이름과 로고문제라는 것을 알게됐다. 이제 내가 젤 못하는 그림 그리기를 해야할 시간이 되었다. 로고는 예전에 앱을 하나 출시하면서 만들어본 적이 있다. 일러스트레이터를 사용해서 만드는 거였는데 그냥 따라하면 되는거였다. 지금 에디터의 로고는 티스토리 로고를 아주 조금 변형한 것이다. ubuntu에서 inkscape로 대충 만들어낸 것이다. 예전처럼 이제 로고를 만들어야 할 때가 되었다. 아무런 도움도 없이 나혼자서 저 책 수준의 로고를 만들긴 어렵겠지 ㅠㅠ 벌써부터 갑갑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