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근처의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마트에게 의무휴업을 강제한 이 정책은 박근혜 정부가 어처구니없이 만든 규제정책이라고 생각한다. 몇몇 곳은 대형마트가 나머지 상권을 죽이기도 했겠지. 하지만 대형마트가 무슨 동네마다 있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차를 타고 갈텐데 몇몇 사례를 가지고서 전체에 적용하는 말도 안되는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이 정책이 효과가 있었다면 분명히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 대형마트와 그 상권의 매출변화를 비교해가며 분명히 리포트가 발표되었을 것이다. 이런것을 안했을리가 없다. 하지만 그런 리포트는 본 적이 없고, 오히려 쿠팡이나 마켓컬리같은 마트를 대체하는 당일배송, 로켓배송 업체만 더 커졌다는 뉴스만 본 것 같다. 대형마트, 시장 모두 손해인데다 심지어 소비자인 나..
tinymce 4에서 5까지는 상당히 시간이 걸렸던 것 같은데 최근에 6버전이 나왔다. 5가 나온지 3년만이다. 새로운 버전이 나온 걸 알았으니 바로 적용해주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tinymce 관련 프로덕트들에 묵혀둔 보안 이슈들도 이참에 해결을 해야겠다는 생각이었다. Migrating from TinyMCE 5 to TinyMCE 6 | TinyMCE Documentation DomQuery 변경 중에서 가장 영향이 큰 부분이다. editor.$('#id').addClass("selected")와 같이 jQuery와 비슷한 방식의 dom처리가 가능했는데 이제 사용할 수 없다. editor.dom: DomUtils 을 사용해서 직접 html element에 접근해야한다. editor.dom.ad..
마지막으로 컴퓨터를 산적이 언제던가. 결혼하면서 구입했던 2012 late 아이맥? 아니다. 몇달 뒤 아래한글을 사용해야해서 산 다나와 표준pc? 아니다. 대학원 수업 편하게 들으라고 샀던 lenovo 노트북? 그래. 2018년에 구입했던 lenovo 노트북이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신기하게도 마지막에 구입했던 노트북만 (어처구니 없는 이유로ㅠㅠ) 메인보드가 나가서 못쓰고 있고 나머지는 아직도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pc로 대단한 게임들을 하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개발업무도 그 컴퓨터들로 큰 문제는 없었다. (물론 개발업무는 회사 pc로 하지만 이따금 쓴다) 2022년이 된 지금은... 2012 late 아이맥은 더이상 os 업그레이드가 되지를 않아 애플앱도 설치가 안된다. 다나와 표준pc는 gt..
2017년 7월 1일 옥자시청을 시작으로 넷플릭스를 시작했다. 지금까지 4년 5개월간 나의 휴식, 즐거움이 되어 준 넷플릭스. 이젠 잠시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려고한다. 별거 있겠어 생각했던 디즈니 플러스에는 너무나 엄청난 많은 수의 작품이 있었고 이걸 보느라 넷플릭스 작품을 볼 시간이 없을 것 같다. 사실 넷플릭스의 이별 메일처럼 그리워지면 언제든 다시 돌아갈 수 있으니 그리 큰 부담은 없다. 그리고 구독기간 길다고 혜택이 있는 것도 아니었으니까 딱히 아깝거나 그런 마음도 없다. :) 우리가족 넷플릭스 시청통계 2020년엔 못했지만 2019년까진 연말에 시청통계를 내봤었다. 넷플릭스에서 시청기록을 제공해줘서 그런게 가능했었는데 이번엔 전체 통계를 내보려고 한다. 나뿐만이 아니라 같이 사용하고 있는 우리..
webgl을 한번 사용해볼까 싶어 tutorial을 보면서 따라해보기로 했다. webgl 2.0이 나온거 같은데 tutorial은 1.0 기준인듯 하다. 일단 1.0을 보고 2.0을 알아보면 될 것 같다. tutorial은 matrix로 정육면체를 만들고 거기에 텍스쳐를 입히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결국 gl을 사용해서 만드는건데. 깊이 파는 것이 아니라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쪽으로 넘어가야할 것 같다. javascript로 만들어진 three.js 같은 것을 사용하거나 unity + 웹어셈블리로 만들면 될 것 같다. 역시 공부해야할 것이 많구나. 오늘은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