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사진
  • About
  • 태그
  • 방명록
  • RSS
  • JooStory.net
  • JooHana.net

개인적인 관심사에 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집밥 #개발자 #Ubuntu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601)
    • Dev (76)
    • 잡담 (102)
    • 집밥 (21)
    • 리뷰 (41)
  • 방명록

express, flask, django, spring boot, php

(node, python, go, php, java에 이어서..) 토이 프로젝트로 간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만들고 싶었다. 이미 비슷한 앱을 순수한 php로 구현해둔 상태다. 좀 더 확장을 하고 싶었고 고민은 시작됐다. 그냥 php로 만들까? 그럼 ldap 연결은? 아... 안돼... node express로 만들까? 아... ldapjs 괜찮을까? async, await 덕지덕지 써야겠지? 귀찮다. python... flask? 오~ 좋아보이네. 근데 이거 하루안에 공부 가능? 나 성격 급해서 바로 결과물 봐야는데... 이런 저런 생각을 하다보니 난 어느새 flask를 공부하고 있었고 어느 정도 뼈대를 만들어나가고 있었다. python을 써봤지만 예전엔 django만 써봤던 것 같다. 그나마 아주..

잡담 2018. 4. 18. 14:14 댓글 0
node, python, go, php, java

node, python, go, php, java 최근 일하면서 접하게 되는 언어들이다. 상황에 가장 알맞는 언어를 사용하면 된다지만 그것도 모두 알아야 가능한 일이다. 안다는 것은 어떤 프로젝트가 오더라도 그 것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을 말한다. 과연 저 여러 플랫폼을 모두 그 정도 수준으로 알 수 있는 것인가? 누군가는 한 플랫폼을 계속해서 발전시키고 있다. 발전한 만큼을 따라가려면 나또한 그 정도의 노력은 해야한다. 플랫폼이 많아질수록 그런 노력은 갑절이 된다. 결국 지쳐서 하나의 플랫폼에 집중한다. 그러면 적어도 한 분야에서는 어느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소위 핫한 플랫폼이 나오면 주위에서 나에게 한마디씩 한다. 그 플랫폼 아직도 살아 있냐고... 내가 핫한 플랫폼 위에 있지 ..

잡담 2018. 4. 17. 12:35 댓글 0
travis로 electron빌드

그동안 TistoryEditor는 리눅스 환경에서 모든 빌드를 했었다. 맥에서 리눅스 빌드를 왠지 모르겠지만 계속 에러가 났고 그걸 해결하려는 의지가 좀 부족했던 것 같다. 'electron-builder가 언젠간 쉽게 되도록 해주겠지'라는 안일한 마음도 있었다. 지금은 맥에서 별다른 문제없이 빌드가 된다. 어쨌든 빌드는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었다. 리눅스, 맥, 윈도우 모두 빌드를 한 후에 github에 release를 만들고 거기에 파일을 업로드하고 github page에서 버전을 업데이트 해줘야 한다. 자동으로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참 좋겠다 생각한 그때 travis가 그걸 해준다는 것을 알았다. Travis 설정 electron app을 travis에서 배포하도록 하려면 먼저 travis re..

Dev 2018. 3. 20. 08:36 댓글 0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거 더럽게 불편하다

지난 주 금요일 신용카드를 재발급 받아서 카카오 페이에 등록해 둔 이전 신용카드 정보를 제거하려고 했다. 근데 황당하게도 멜론 정기결제에 연결되어 있어서 카드 정보를 삭제를 못한다는 거다. 깜짝 놀랐다. 그 카드는 법인카드였기 때문이다. 내가 실수로 정기결제를 법인카드로 했나 싶어서 급히 확인해보니 다행히 아니었다. 문득 몇달 전 실수로 법인카드를 잘못 연결했다가 급히 변경한 기억이 난다. 설마 아니겠지. 그게 연결했다가 바로 변경했는데 그 정보가 남아있을리가 없지 생각하며 고객센터라는 곳에 문의를 넣어보기로 했다. 조그마한 핸드폰에 두손가락으로 뭔가를 입력하는 것이 불편해서 컴퓨터로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생각했지만 아쉽게도 그런 안내는 없었다. (나중에야 알았다. PC로 접근할 수 있는 고객센터가 있다..

잡담 2018. 3. 5. 14:07 댓글 0
어떤 template engine을 사용할 것인가

node 서버를 처음 만들어본다. 개인적으로 서버를 만들만큼 필요를 못 느꼈고 회사에서 이걸 사용하는 곳도 없어서 였던 것 같다. 어쨌든 이제 webpack-dev-middleware를 사용하니 node 서버에서 대해서 알아가는 중이다. router는 뭐 당연히 express를 사용하는 것 같고 template engine은 이거저거 말이 많다. 걍 쓰고 싶은 거 쓰는 듯. react, handlebars, mustache를 생각했는데 단순히 template만 주면 되기 때문에 handlebars로 생각이 모아지는 중이었다. 근데 express 문서에서 jade, 그러니까 지금은 pug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여기저기서 pug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봤다. pug가 대세인가? 하고 잠시 알아봤다...

Dev 2018. 3. 3. 18:04 댓글 0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121 다음
이전 다음
링크
  • JooStory.net
  • Github
  • Twitter
  • LinkedIn
최근에 올라온 글
  • 대형마트 의무규제 폐지
  • tinymce 6
  • 출시 1년된 PC 2대 구입한 이야기
  • 넷플릭스 잠시 안녕
TAG
  • Linux
  • 티스토리
  • 요리
  • Daum
  • electron
  • 레시피
  • 글꼴
  • 넷플릭스
  • Mac
  • ubuntu
more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