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한번도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없는데 클립보드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을 여러번 받았다. 내 생각에는 이미지 파일로 만들어서 업로드하는 것이 관리도 편하고 더 좋을 것 같은데 클립보드에서 바로 업로드로 이어지는 것이 더 편한가보다. 내가 편히 쓰려고 만든 프로그램이라 내가 안쓰는 기능은 왠만하면 잘 넣지 않지만 이번엔 시간을 내서 해보기로 했다. Electron의 클립보드 Electron에서는 clipboard의 이미지를 반환해주는 api를 제공하는데 그 이미지라는 것은 nativeImage다. nativeImage를 png나 jpeg, bitmap으로 변환하면 드디어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이 데이터는 또 Buffer로 만들어지는데 업로드하기 위해선 stream으로 변..
요새 바빠서 Editor 업데이트를 자주 하진 못하고 있는데 그래도 매일 조금씩 뭔가를 하려고는 한다. 어제는 Quill 에디터를 snow로 바꾸는 작업을 마무리 하려고 했다. Quill에서 제공하는 code-block이 맘에 안들어서 이거저거 만져보다가 결국 delta to html을 만드는 것으로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글 하나 쓰고 자려는 참이었다. 악몽 Quill에 Syntax 모듈을 적용하면서 겪은 일을 아주 소상히 적고 있었다. 예까지 들어가며 아주 소상히. 그러다 아무 생각없이 마우스로 왼쪽 글 리스트에서 글 하나를 클릭했다.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당연히 쓰던거 다 사라지고 선택한 글이 뷰어에 표시됐다. 그렇게 저렇게 빼곡히 쓴 글이 날아갔다. 되돌릴 방법이 없다는 것은 내가 제일 잘 알고 있..
TistoryEditor를 만들기 위해서는 html to markdown, markdown to html 변환을 해야한다. tistory api에서 당연하게도 content를 html로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정을 하려고 할때는 markdown으로 변환하고 다시 저장할 때는 html로 변환해야한다. makrdown to html markdown을 html로 변환하는 것은 수요가 많기도 하겠고, markdown의 규칙이 그리 어렵지 않아서 그런지 많은 라이브러리가 있다. 그 중에 제일 사용자가 많아보이는 marked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전에 티스토리에 markdown으로 글쓰려고 만든 툴에서도 이걸 쓰기도 했고 benchmark에서 가장 빠르다고 한다. (더 빠른 것으로 보이는 robotskirt는 C..
- Total
- 742,885
- Today
- 11
- Yesterday
- 41
- 검색
- 티스토리
- 찬양
- github actions
- IE
- virtualbox
- electron
- react
- Firefox
- 요리
- 영화
- 다음
- Firefox3
- Flutter
- chrome
- 망치
- 레시피
- electron 시작하기
- Daum
- Linux
- 보안
- 글꼴
- Tistory
- Eclipse
- 리뷰
- Ubuntu8.04
- 넷플릭스
- ubuntu
- M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