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AngularJS를 쓰느냐 Handlebars를 쓰느냐 고민을 하면서 댓글 리스트 샘플을 만들어봤었는데 뒤늦게 React로도 한번 만들어봤다. 마침 튜토리얼도 댓글이라 튜토리얼을 많이 참고했다. https://facebook.github.io/react/docs/tutorial.html 사실 다들 React, React 해서 진작에 살펴봤어야 했는데 이제야 React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그간 React 방식이 그닥 맘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javascript로 XML을 통해 dom을 컨트롤하는 것이 특히 그랬다. 그것을 JSX라고 한다. 그리고 AngularJS 에도 제법 익숙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준비 실제 필요한 것은 react, react-dom, compile된 comment.js..
마크다운을 처음 알게된 건 누군가의 블로그를 통해서 였던 것 같다. 마크다운을 소개하면서 굉장히 쉬우면서도 좋다고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전까지 블로그 글을 html을 통해서 작성했는데 마크다운을 사용한 뒤로 너무 편해졌다고 했다. 새로운 문물을 좋아하는 나도 도전을 해봤다. 그러나 마크다운이 별로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했는지 사용할 곳을 찾지 못해서였는지 금새 관심이 사그라들었다.오랜시간이 지나 오늘 날엔 github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마크다운이 개발문서의 표준이 되어버렸고 위지윅 에디터가 마땅찮은 곳에서는 대부분 마크다운을 지원하고 있다. 나도 여기서 마크다운으로 글을 써서 블로그로 옮기고 있다. 이유는 티스토리에서 아직(?) 마크다운 에디터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티스토리 글쓰기 플러그인으로 마..
언젠가부터 블로그 접속 속도가 무척이나 느려졌다. 굉장히 자주 화면에 아무것도 안나오는 상태로 멈춰있었다. 뭔가 서버 리스스 하나가 response를 주고 있지 않는 것 같았다. 내 블로그에 문제가 생긴건가 싶어서 정말 짜증이 났다. 이걸 해결하려면 어디서부터 시작을 해야하나 티스토리에 문의를 해야하나 짜증은 났지만 참고 찾아보기 시작했다. 원인 처음엔 티스토리 서버에 문제가 생긴 줄 알았는데 가만보니 jquery가 문제였다. 로딩 속도를 빨리하고 싶어서 쓴 cdn인데 여기서 무한정 대기가 걸려있던 거다. 사용하고 있던 cdn은 jquery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code.jquery.com 서버다. 찾아보니 jQuery CDN 속도 비교를 한 곳도 있다. 무려 2010년에 작성된 글인데 지금까지 이 문..
- Total
- 732,847
- Today
- 4
- Yesterday
- 43
- 찬양
- Firefox3
- Daum
- 티스토리
- Linux
- 넷플릭스
- 리뷰
- Firefox
- Flutter
- ubuntu
- chrome
- github actions
- 망치
- Tistory
- 다음
- Ubuntu8.04
- Eclipse
- IE
- virtualbox
- 글꼴
- 보안
- 검색
- 영화
- electron
- Mac
- react
- 요리
- 레시피
- electron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