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ymce는 요새 프리미엄 구독으로 돈을 벌려고 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좋은 플러그인들은 유료버전에만 제공한다. 물론 그들이 흙파먹고 살 순 없으니 당연한 일이라 생각이 들긴하지만 조금 아쉽긴하다. 필요한 기능이 있는데 그것만을 위해서 돈을 내기에는 좀 아까워서 직접 플러그인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플러그인 제작 공식 문서에는 아주 심플하게 써 있다. plugins에 등록하는 방법, 플러그인 코드를 로드하는 방법, 그리고 플러그인 매니저에 플러그인 코드를 등록하는 방법 이렇게 세가지를 적어뒀다. 앞의 두가지 방법은 사용법이니 결국 필요한 부분은 다음이다. tinymce.PluginManager.add('example', function(editor, url) { // Add a butto..
angular도 한번 써보기로 했다. angular는 뭔가 또다른 세상이다. 처음보는 것들이 많다. 하나하나 알아가보기로 했다. concurrently의 활용 typescript를 하면서도 이런 코드를 봤는데 angular도 typescript를 base로 하고 있어서 그런지 concurrently를 사용하고 있었다. 막연히 watch 같은 건가보다 하고 있었는데 사용하는 것을 가만히 보니 npm start 와 npm run serve 를 param으로 넘겨주고 있었다. 그래서 궁금했다. 찾아보니 concurrently는 동시에 두개의 process를 처리해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watch와 서버를 동시에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webpack-dev-server같이 이걸 동시에 해주는 대신 이걸 사용하..
- Total
- 742,885
- Today
- 11
- Yesterday
- 41
- Firefox
- 리뷰
- Tistory
- 레시피
- Eclipse
- 망치
- Flutter
- IE
- electron
- Linux
- Firefox3
- react
- Daum
- 요리
- 보안
- 글꼴
- 검색
- 다음
- Mac
- 넷플릭스
- Ubuntu8.04
- 영화
- ubuntu
- github actions
- 찬양
- virtualbox
- 티스토리
- chrome
- electron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