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육아와 집안 살림에 주력하면서 산모를 위한 요리를 해보고 있다. 그 시작은 미역국! 산후조리원, 처가를 거치면서 미역국을 직접 끓일 필요가 없었고, 처가에서 집으로 올 때도 장모님이 미역국을 싸주셔서 한동안 편하게 먹었는데 이제 직접 할 때가 되었다.미역국은 쉽다쉽다 말만 들었지 직접 만드는 것은 처음이라 레시피 하나를 참고했다. 레시피들에는 대부분 고기가 들어가 있는데 고기를 넣고 싶지 않아 방법을 조금 바꿨다. 내가 만든 방법은 이렇다.미역 한 줌을 물에 불린다.물 6컵에 다시마와 멸치를 넣고 끓여 국물을 만든다.불린 미역에 들기름 1스푼, 마늘 1스푼을 넣고 잘 섞는다.들기름을 살짝 둘르고 섞은 미역을 볶는다.미역이 살짝 익으면 만들어둔 국물을 넣고 끓인다.국간장 1스푼, 멸치액젖 1스푼을 넣..
Syntax highlighting은 한동안 쓰다가 불편해서 중단했었다. 설치 불편한거야 어찌어찌 하면되는데 사용할때마다 class에 뭔가를 꼭 써줘야하는 건 많이 불편했다. 그러다가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라이브러리 하나 발견해서 그동안 사용했던 라이브러리들을 쭉 정리해보려고 한다. SyntaxHighlighter SyntaxHighlighter는 블로그가 떠오르던 시절 글쓰는 개발자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준 고마운 녀석이다. 티스토리에서 이 라이브러리가 한창 유행했었는데 그 뒤로 바꾸지 않은 사람도 있어서 아직도 이따금 사용 중인 블로그를 보곤한다. 지금이야 이렇게 스크립트 3개만 로딩하면 사용이 가능하지만 처음에는 그렇지 않았다. sh 로 시작하는 수많은 스크립트와 css를 로드해야했다. /..
이전에 AngularJS를 쓰느냐 Handlebars를 쓰느냐 고민을 하면서 댓글 리스트 샘플을 만들어봤었는데 뒤늦게 React로도 한번 만들어봤다. 마침 튜토리얼도 댓글이라 튜토리얼을 많이 참고했다. https://facebook.github.io/react/docs/tutorial.html 사실 다들 React, React 해서 진작에 살펴봤어야 했는데 이제야 React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그간 React 방식이 그닥 맘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javascript로 XML을 통해 dom을 컨트롤하는 것이 특히 그랬다. 그것을 JSX라고 한다. 그리고 AngularJS 에도 제법 익숙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준비 실제 필요한 것은 react, react-dom, compile된 comment.js..
임정욱님이 예전 다음에서 아이폰과 트위터를 통해서 신세계를 보여주셨는데 그때부터 임정욱님 팬이 되어 지금도 쓰시는 글을 거의 다 받아보고 있다. 워낙 유명인이 되셔서 그런지 이제는 정부 관계자분들과도 소통을 하시는 것 같다. 이따금 우리나라의 IT 환경에 대한 질타/불평을 하시는데 이런 내용이 관계자에게 전달이 되면 그들도 보고 바뀌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곤한다.대개 모두 공감하지만 때때로 좋은 비판임에도 반대를 하는 사람이 있다. 평소엔 그냥 그러려니 하는데 오늘 본 글은 내가 보기엔 너무 황당한 논리라서 한번 짚어보려고 한다. 이슈 왜 이런 서비스를 일요일 및 공휴일에 제공 안하는지 모르겠다. 자동화된 것이 아니고 사람이 출근해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주는 것인가.Posted by 임정욱 on 201..
티스토리 치환자 중 s_article_rep, s_notice_rep, s_article_protected 정리해본다. ... : 블로그 글의 고유 주소 : 블로그 글의 제목 : 카테고리 주소 : 카테고리 이름 : 글쓴 날짜 : 작성자 이름 : 작성자 이름 ... : 썸네일이 표시되는 영역입니다 (첨부된 이미지가 없는 경우 표시되지 않음) : 썸네일 이미지 주소 : 생략가능 : 블로그 글의 고유 주소 : 블로그 글의 제목 : 카테고리 링크 : 카테고리 명 : 글쓴 날짜 : 작성자 이름 (*팀블로그용 치환자), : 관리자 로그인시 글 관리 메뉴가 출력되는 영역입니다. : 수정 : 수정 온클릭 이벤트 : 글의 현재 상태 : 상태 변경 온클릭 이벤트 : 이후 상태 : 트랙백 온클릭 이벤트 : 삭제 온클릭 이벤..